본문 바로가기
안경학

편광법-MKH에 따른 사위검사 알아보기

by 이유님 2022. 9. 13.
반응형

편광법-MKH에 따른 사위검사 알아보기

 

독일에서 사위는 양안비정시associated phoria 로 정의되어 미국의 사위 dissociated phoria 와는 다르게 주시시차까지를 포함한 엄격하고 세밀한 것이다. 그러니까 양안비정시associated phoria 의 측정에는 일상 양안 시생활에 보다 가깝게 하기 위하여 일부 필요한 부분만 융합을 제거할 뿐 아니라 중심와에는 강한 융합자극 가하도록 하는 여러가지 편광시표를 편광검사렌즈를 사용하여 보도록 하여 검사하는 것이다.

일상시에 가깝게 하고 중심와 융합자극을 가하려면 단일비정시의 측정 때처럼 조명이 밝은 명소시상태라야 하는 것이다. 아래와 같은 MKH에서 양안비정시asso ciated phoria의 규정은 간결명료하고 설득력이 있다. 일상적 시생활을 하는 명시하의 부분융합제거안위, 그러므로 교정이향안정안위optometric vergence rest position에서 선명상의 측면상위치 에러가 있는 두 눈의 상태이다.

 

독일의 안경사 아우겐옵티커augenopriker가 안경조제가공을 위한 안경처방검사의 정의는 간결하고 명확하다. 그것은 양안에 맺히는 시점의 선명상의 위치를 렌즈의 광학기능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양안동시에 중심forea로 이동시켜 최상의 양안선명단일시가 되도록 하는 작업을 말한다. 그러므로 아래 정의되는 비성시 ametropia의 광학적에러refarctive emor 를 안경 등으로 정시emmetropia 로 교정하는 것이다.

 

독일 아우겐옵티커의 양안시의 프리즘처치가 미국의 옵토메트리스트의 아이디어와 기본적으로 다른 점은 주시시차fixation의 정의 및 교정에 있다. 양안시의 이상적 기준을 양안 모두 중심에 선명한 상을 맺게 하는 것으로 하고 이렇게 하면 가장 좋은 해상력을 발휘할 수 있고 주시점의 정확한 망막중심대용점인 중심와에서 감각성융합sensory fusion이 일어나면 한쪽 눈의 억제 supnession 또는 이상대응ahmornal comespondence으로 인한 편심주시 fixation 의 고착이 일어나지 않아 원활한 양안선명단일시가 된다는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원활한 양안시가 계속되게 하기만 양안시기능저하를 유발하는 조절과 폭주의 과다 및 부족은 자연히 해소되며 그 균형을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중심외부분의 파눔융합억제에서 생기는 주시시차는 당연히 교정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 이유는 양주시점을 위한 파눔역 Panum's arca 은 양안시의 최종 목적인 주시점 주변물체의 비대응점길상으로 원근감 획득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지 원근감의 기준이 되는 주시섬은 정확히 양안중심와에 맺혀야 한다는 것이다

 

주시시차와 연결된 MKH에 따른 양안비정시 즉, MKH의 사위associated phoria의 분류는 아래로 알아보자.
첫째, 운동성융합으로만 정확하게 양안의 중심와대응을 하는 안근성사위 muscular phoria 服筋性斜로 이와 같은 사위는 극히 적다.
둘째, 대부분의 양안비정시, 즉 사위는 운동성융합의로 파눔Panum's area으로 양안시점의 상이 오고 일정부분은 감각성 융합으로 보정되는 사위로 파눔역 안에서 중심와 주변부대응의 고착된 정도에 따라 중심와 불일치융합사위 dis
parate fusion phona와 불일치대응사위 dispa rate comespondence phoria로 나누고 다시 고착이 얼마되지 않는 초기형young type과 말기형으로 나눈다.

 

그들에게 있어서는 비정시를 아래와 같이 단안비성시 amctropia와 양안성시 associated helerophoria, angu Tarammetropia로 나눈다. 따라서 안경 등 광학적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양안의 선명상을 중심와에 오게 하는 광학적 처치는 이건이 있을 수 없는 안경사 고유의 전문영역된다.
첫째, 단안비정시ammetropia 는 정적굴절상대 stat-ic refraction 에서 원거리주시점의 선명상이 중심와에 있지 않고 앞 뒤에 있어 축성위치에러axial image location error가 있는 좌우단안
둘째, 양안비정시associated heterophoria 는 자연시에 가깝게 부분적으로 융합자극을 받는 부분 융합체기안위 fusion free position 에서 양안주시점의 선명상이 동시에 양안 중심에 맺히지 않고 중심와의 위, 아래, 잎 등 주변에 있어 측변위치에러 lateral image error가 있는 양안의 상태, 즉 우리가 일고 있는 미국 옥토메트리스트의 사위이다.

 

여기에 비하여 양안시 이상 및 양안시기능불량이란 개념에서 그 처치는 시기능훈련 VT에 중점을 둔 미국의 사위dissociated phoria 의 개념은 일상시와는 아주 다른 중심와 양안융합기능이 없는 좌우안이 분리된
dissociated 안위상태에서 감각성융합sensory fusion 이 되는 정위orthophoria 와 차이가 나는 양안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독일의 양안비정시associated phoria는 미국 옵토메트리스트로 대표되는 전통적 정의의 사위dissociated phoria에서 주시시차분을 포함한, 즉 연결 associated 양안중심에 정확한 중심망막점대응이 되도록 하는 프리즘 량을 뜻한다.

 

반응형

댓글